핵심 개념
Palito는 IT 인프라 토폴로지를 자동으로 시각화하고 관리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 수작업으로 진행하던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작성을 자동화하여 효율적인 IT 자산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개발 배경
IT 자산을 수치로만 나열하는 것은 전체 구조를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자주 발생합니다:
- 복잡한 Excel로 관리되는 IT 자산 목록
- 수동으로 그려야 했던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 실시간 변경 사항 반영의 어려움
Palito는 이러한 반복적이고 비효율적인 작업을 자동화하여, 한눈에 이해할 수 있는 시각화 결과물을 제공합니다.
워크플로우 비교
Palito 도입 전후의 업무 시간과 절차를 비교해봤습니다. 클릭 한 번으로 토폴로지가 자동 생성되는 경험을 해보세요.
기존 워크플로우
Foxee Graph 워크플로우
위 비교에서 볼 수 있듯이, Palito는 수동으로 진행하던 대부분의 작업을 자동화하여 작업 시간을 크게 단축시킵니다.
이 외에도 Palito는 토폴로지를 유지/관리 하는 작업을 자동화합니다. 다음은 수동과 자동의 비교입니다.
유지 보수 작업 비교하기

수동으로 업데이트하기
비효율적입니다..

자동으로 업데이트하기
효율적입니다!!
핵심 구성 요소
이 항목은 Palito 워크플로우의 핵심 단계들을 설명합니다.
1. 데이터 임포트
Excel에 정리되어 있는 자산 목록을 노드 데이터로 자동 변환하는 것이 첫 단계입니다. IT 자산 목록이 자동으로 노드로 변환되어 관리가 용이해집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Excel 자산 관리 체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2. 노드 생성
변환된 노드들은 다음과 같은 계층 구조로 그룹화됩니다:
- Zone: 최상위 논리적 그룹
- 부서, 프로젝트, 물리적 위치 등으로 구분
- 독립적인 관리 단위
- CBS (Computer Based System)
- Zone 내 네트워크 기반 하위 그룹
-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들의 집합
- Node
- 개별 IT 자산
- 실제 장비, 서버, 네트워크 장비 등
3. 관계 분석
토폴로지의 핵심은 자산들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것입니다. Palito는
- 노드 간 네트워크 관계 자동 분석
- 엣지 자동 생성
을 통해 자동으로 노드 간 관계를 분석하고 나타냅니다.
아래 그림에서 노드를 클릭해보세요!
관계 분석 프로세스
CBS: CBS 1
CBS: CBS 1
CBS: CBS 2
CBS: CBS 3
4. 노드 배치
복잡한 네트워크 구조를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기 위해 Palito는
- Zone 내 노드 자동 배치
- 겹침 최소화
- Zone 및 CBS의 크기 자동 조절
- 관계를 명확히 보여주는 배치 알고리즘
을 지원하여 자동으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그려줍니다.
자동 레이아웃 데모
토폴로지 생성 이후
이 항목은 Palito로 생성한 토폴로지가 지원하는 기능들을 설명합니다.
1. 직관적인 인터랙션
ReactFlow 기반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상호작용이 가능합니다.
- 노드를 마우스로 자유롭게 이동
- 더블클릭을 통한 노드 핸들러 리스트
- 드래그 앤 드롭으로 새로운 노드 추가
- 노드 클릭으로 자산 정보 수정

Move nodes with mouse

Right-click handler

Add nodes with mouse

Update node information by clicking
2. 유연한 뷰 모드
상황에 따라 다른 관점으로 토폴로지를 볼 수 있습니다.
- 전체 뷰: 모든 Zone을 한 번에 파악
- Zone 뷰: 특정 Zone의 상세 구조 확인
전체 뷰

모든 Zone을 한번에 볼 수 있습니다.
한 눈에 보기 편리합니다.
Zone 뷰

각 Zone 별로 나눠서 볼 수도 있습니다.
Zone 내부를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